{"type":"txt","text":"rosalyn song","font_size":20,"font_weight":"bold","font_family_ko":"Nanum Gothic","font_family_en":"Lexend Deca","color":"black","letter_spacing":0}
  • HOME
  • About
  • CV
  • current works
  • old works
  • {"google":["Lexend Deca","Barlow"],"custom":["Noto Sans KR","Nanum Gothic"]}
    ×
    섹션 설정
    {"type":"txt","text":"rosalyn song","font_size":20,"font_weight":"bold","font_family_ko":"Noto Sans KR","font_family_en":"Lexend Deca","color":"black","letter_spacing":0}
  • About
  • CV
  • Portfolio
  •  

     

    psytechnography

     

     

    1.

    The cognitive experience of perceiving the world, influenced by an individual's innate temperament, plays a crucial role in shaping the mind and identity. This experience finds expression through verbal and non-verbal actions like language or gestures. I am profoundly fascinated by the diversity in how each person, as a sensory actor, perceives universal elements uniquely and interprets them through their individual sensory perception systems. In this imaginative context, I envision the individual, their cognitive system, and the mind(or sentimental) functioning akin to a "medium-sensor-data generator." Digital technology acts as a "printer" that externalizes sensory experiences, emotions, and the state of mind. Within the framework of "synesthesia," where sensory organs are interconnected, the stimulation of one sensation activates other sensory organs simultaneously. The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resulting from this process is captured using digital medium such as cameras and synthesizers. The outcomes produced through these media become a reflection of the cognitive information of synesthesia, exhibiting its inherent "plasticity" in a different form. Within this relationship, I can explore limitless possibilities of transforming and blending media, such as image-sound-image-sound. I refer to this interplay between an individual's cognitive system, mind (psyche), technology, and its performative practice (-graphy) as "psytechnography." My ultimate goal is to pioneer a hybrid photography genre, pushing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methods of recording and interpreting photographs, and capturing, above all, the essence of my identity as a synesthete.

     

     

    2.

    In my music video projects, I often delve into personal narratives and portray myself and others as participants in dynamic relationships, where both humans and non-humans interact. I set myself, my surroundings, living beings, nature, technology, and even abstract concepts like space and time as objects of love. I'm intrigued by the emotional connections, empathy, compassion, and acts of nurturing tied to these subjects. 

    Through my work, I strive to question the conventional, human-centered perception of love's subjects and its essence. I aim to explore ways in which our diverse selves can harmonize and coexist, forging a path that goes beyond the usual boundaries.

     

     

     

     

     

     

    사이테크노그래피

     

     

    1.

    개인의 타고난 기질에 따라 세계를 감각하는 인지 경험은 마음과 정체성을 형성한다. 또한 이것은 말의 언어 또는 제스처와 같은 비언어적 행위를 통해 정보로서 발현된다. 나는 감각 행위자로서의 개개인이 보편된 공통의 것을 다르게 느끼는 각자의 감각 인식 체계와 그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식의 다양성에 매우 흥미를 느낀다.

    이때 나는 개인과 그의 인지체계 그리고 마음을 매체-센서-데이터생성 프로그램이라 가정해 본다. 디지털 기술은 감각 경험과 그에 의해 형성된 감정 및 심리를 외부로 출력(printer)해 준다. 이러한 상상적 관계 안에서 나는 ‘공감각(synesthesia)’이라는 감각 기관의 연합상태로 인하여, 한 가지 감각이 자극 될 때 다른 감각 기관이 동시에 작동되는 상호 연결성(interconnecteness)과 그 메커니즘 안에서 처리되고 생성되는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카메라와 신디사이저와 같은 디지털 매체를 통해 기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제작된 결과물은 공감각의 인지 정보 변형성, 즉 가소성(plasticity) 안에서 다시 미디어로서 활용되어진다. 이 관계 안에서 나는 이미지-사운드-이미지-사운드와 같이 미디어를 무한대로 변형하고 결합할 수 있는 그 순환 가능성을 실험해 볼 수 있다. 나는 이러한 개인의 인식 체계, 또는 그로 인해 생성된 마음(psyche)과 기술(technology)의 연결 그리고 그 수행적 실천(-graphy)을 사이테크노그래피(psytechnography)라 부르고 싶다. 이를 통해, 사진을 기록하고 읽는 전통적 방식의 변주와 확장을 시도한, 무엇보다 공감각자로서의 내 정체성이 담긴 하이브리드형 사진장르를 개척해 나가고 싶다. 

     

     

    2.

    내 뮤직비디오 작업에서는 종종 본인의 자전적 서사를 다루며, 나를 비롯하여 작업에 등장하는 인간과 비인간 모두 서로 상호작용하는 관계 역학의 참여자로 등장시킨다. 나, 나의 주변 인물들, 동식물, 자연, 기술, 그리고 심지어 공간과 시간 등과 같은 추상적 개념을 사랑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감정적 유대, 공감, 연민, 돌봄의 행위에 관심을 두고 제작중이다. 

    작업을 통해 나는 우리가 기존에 인간 중심적으로 인식해 왔던 사랑의 대상과 그 본질에 질문하고, 서로 다른 우리가 화합하며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해나가고자 한다. 

     

     

    {"google":["Lexend Deca"],"custom":["Noto Sans KR"]}{"google":["Lexend Deca","Barlow","Playfair Display","Helvetica Neue"],"custom":["Noto Sans KR","Nanum Gothic"]}
    {"google":["Lexend Deca"],"custom":["Noto Sans KR"]}